본문 바로가기

학과안내

진로/취업분야

진로안내

현재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고 졸업하는 학생들은 국가 및 지방정부의 사회복지직 공무원으로 진출할 수 있다. 이 중 사회복지직 공무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다.
또한 준국가기관이라고 할 수 있는 국민연금관리공단, 건강보험관리공단, 산업재해보상보험 및 고용보험의 일부업무를 관리하는 근로복지공단 등과 같은 사회보험관리기관으로도 진출할 수 있다.
종합적인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관이 저소득층 지역과 사회문제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거의 모든 지역사회에 건립되고 있는데 사회복지관의 업무는 사회복지사들이 주로 담당하며 관장과 부장도 그 자격으로 사회복지사 자격증 소지나 사회복지분야의 경력을 규정하고 있다.
아동, 청소년, 노인, 장애인, 여성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기관과 수용시설에서도 사회복지사들이 활동하고 있다.
종합병원의 사회사업실과 정신과, 정신병원에서 의료사회사업가와 정신의료사회사업가로 진출할 수 있다.
이 밖에 사회복지 법인이나 시설에서는 사회복지사를 종사자로 채용하도록 법으로 규정되어 있다.
그리고 교정사회사업이나 학교사회사업이 우리나라에서도 활성화되면 이 분야에서도 사회복지사의 진출이 이루어질 것이다.
자세히 세분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.

졸업 후 진로

  • 공무원 : 사회복지전문직공무원(5급, 7급, 9급), 보건소 등
  • 복지기관 : 종합사회복지관, 장애인복지관, 아동복지관, 노인복지관, 청소년 복지관
  • 복지시설 : 아동복지시설, 청소년복지시설, 노인복지시설, 장애인복지시설, 여성복지시설, 교정복지시설, 정신장애인복지시설, 그룹홈
  • 학교 : 학교사회사업가(초, 중, 고), 대학 상담소 상담사
  • 단체 : 사회복지공동모금회, 자활후견기관, 일반 기업체(복지재단 등), 각종 쎈터(노인주간보호쎈터, 자원봉사센터,등), 푸드뱅크, 각종 사회단체(YMCA, 여성단체,NGO 등), 각종 사회복지관련협회 각종 공단(국민연금관리공단, 근로복지공단 등), 기타 공익단체
  • 의료기관 : 종합병원, 의원, 정신병원의 사회사업가
  • 연구소 : 보건사회연구원, 한국여성개발원 등 각종 연구소
  • 상담기관 : 가정폭력상담소, 성폭력상담소, 청소년상담소, 아동상담소
  • 대학 : 4년제 대학 관련학과